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85

#61. 그날 저녁의 불편함 - 마리커 뤼카스 레이네펠트. 서평(리뷰) 및 해석 그날 저녁의 불편함 2020년 8월 26일, 바이러스 확산 방지를 위해 비대면으로 치러진 부커 인터내셔널 시상식. 다니엘 켈먼, 오가와 요코, 사만타 슈웨블린 등 쟁쟁한 작가를 제치고 낯선 얼굴이 화면에 잡혔다. 바로 스물아홉 살 네덜란드 작가 마리커 뤼카스 레이네펠트다. 2016년 이 상을 수상한 한국의 한강 작가, 2017년 수상자인 이스라엘 문학의 거장 데이비드 그로스먼, 노벨문학상까지 휩쓴 2018년 수상자 올가 토카르추크의 사례에서 볼 수 있듯 인터내셔널 부커상은 주로 자국에서 탄탄한 기반을 가진 작가에게 수여되었다. 그러나 《그날 저녁의 불편함》은 작가의 첫 소설이었고, 수상 이력도 많지 않았다. 역대 최연소 수상자를 낸 네덜란드는 축제 분위기에 휩싸였고 언론은 ‘깜짝 수상’이라며 취재에 열을.. 2024. 4. 8.
#60. 정체성 - 밀란 쿤데라. 서평(리뷰) 및 해석 정체성 최고의 현대 소설가 중 한 명으로 꼽히는 밀란 쿤데라의 작품들을 선보이는 「밀란 쿤데라 전집」. 소설, 단편집, 희곡, 에세이 등 쿤데라의 작품 15종을 완역할 예정이다. 특히 르네 마그리트의 작품을 표지로 사용하여, 두 거장의 작품을 함께 소장하는 즐거움을 선사한다. 제9권에서는 흥미진진한 연애 편지 대소동을 그린 연애 소설이자 현대인의 불확실한 자아에 대한 성찰을 담은 철학 소설인 『정체성』을 소개한다. 남편과 이혼하고 연하의 연인 장마르크와 살고 있는 샹탈. 장마르크는 늙어 간다는 사실에 서글퍼하는 샹탈을 기쁘게 해주기 위해 ‘시라노’라는 익명으로 그녀에게 편지를 보내기 시작한다. 익명의 남자가 자신의 구체적 욕망을 드러낼수록 샹탈은 묘한 설렘을 느끼고, 장마르크는 자신이지만 자신이 아닌 그.. 2024. 4. 8.
#59. 무기여 잘 있거라 - 어니스트 헤밍웨이. 서평(리뷰) 및 해석 무기여 잘 있거라(세계문학전집 186) 20세기 미국소설의 언어와 스타일을 혁신한 위대한 문장가이자 허무주의적 실존주의 작가 어니스트 헤밍웨이의 두번째 장편소설. 헤밍웨이 스스로 “나의 『로미오와 줄리엣』”이라 말했던 이 작품은 1차세계대전이 벌어진 이탈리아 전역을 주요 무대로 전쟁의 허무와 환멸 속에서 만난 남녀의 비극적 사랑을 그린 연애소설이자, 같은해 출간된 『서부 전선 이상 없다』와 함께 당대를 대표하는 전쟁문학, 반전소설이다. 단선적 플롯과 원형적 캐릭터, 간결한 문체로 삶의 폭력성과 실존의 의미를 성찰했던 헤밍웨이는 이 소설로 세계적 명성을 얻었고, 특히 소설의 마지막 문장은 절망에서 도망쳐 사랑에서 구원을 얻으려 했던 인간이 운명이라는 우주적 폭력 앞에 무너지는 이야기를 특유의 하드보일드 문.. 2024. 4. 8.
#58. 부잣집 아이 - 스콧 피츠 제럴드. 서평(리뷰) 및 해석 F 피츠제럴드 단편선(현대문화센타 세계고전문학) 스콧 피츠제럴드의 주옥같은 작품들을 모은 단편선. 1920년대 미국의 인물들을 흥미롭고 매력적으로 그려낸 '재즈 시대의 대변인' 피츠제럴드는 잘 알려진 〈위대한 개츠비〉나 〈밤은 부드러워〉와 같은 장편 못지않게 다양한 단편들을 발표하였다. 이 책에는 그가 쓴 160여 편의 단편들 중에서 표준 텍스트로 인정받는 가장 대표적인 작품 8편을 엄선하였다. 피츠제럴드의 단편들은 미국 단편소설의 수준을 한 단계 올려놓았다는 평가를 받는다. 흥미로운 플롯, 매력적인 인물들, 상징과 시적 이미지, 효과적인 은유 구사, 여러 실험적인 기법 등이 잘 어우러져 있다. 특히 삶의 경험들을 설득력 있게 표현해낸 그의 단편들은 재미있으면서도 가볍지 않고, 대중적이면서도 예술성을 겸.. 2024. 4. 8.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