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85

#45. 달콤한 노래 - 레일리 슬리마니. 서평(리뷰) 및 해석 달콤한 노래 2016년 공쿠르상 수상작 『달콤한 노래』. 여성 작가로는 113년 공쿠르상 역사상 12번째 수상자가 된 레일라 슬리마니의 두 번째 소설로, 인생 전체에 걸쳐 배척당하고 끊임없이 거절당하고 모욕당하며 결국은 삶 전체를 부정당하는 사람들, 특히 소외된 여성들의 이야기, 강요받는 모성, 짓밟힌 개인성을 그린다. 두 아이가 끔찍하게 살해됐다. 세상에서 가장 완벽해 보이던 보모 루이스의 손에. 하지만 누가 죽였는지, 어떻게 죽였는지는 중요하지 않다. 저자는 오히려 잔인한 살인자 루이즈의 삶, 마약과도 같은 고독 속에서 평생을 견뎌온 그녀의 삶을 이야기한다. 그녀는 왜 그토록 아끼던 아이들을 죽인 것일까. 그녀는 어떤 삶을 살아온 걸까. 두 아이를 낳고 기르다가 채울 수 없는 공허함을 느낀 미리암은 .. 2024. 4. 5.
#44. 페스트 - 알베르 카뮈. 서평(리뷰) 및 해석 페스트 20세기 실존주의 문학의 대표 작가 알베르 카뮈의 소설 『페스트』. '페스트'라는 비극적인 현실 속에서 의연히 운명과 대결하는 인간의 모습을 그린 이 작품은 20세기 문학이 남긴 기념비적인 고전으로 꼽힌다. 무서운 전염병이 휩쓴 폐쇄된 도시에서 재앙에 대응하는 사람들의 각기 다른 모습이 묘사된다. 인물들은 재앙에 대처하는 서로 다른 태도를 드러내 보인다. 그들의 모습을 통해 절망과 맞서는 것은 결국 행복에 대한 의지이며, 잔혹한 현실과 죽음 앞에서도 희망을 놓지 않는 것이야말로 이 부조리한 세상에 대한 진정한 반항임을 이야기한다. 이번 한국어판은 1999년 우리나라 최고의 불문학 번역가로 선정된 김화영 교수가 새로운 번역으로 선보인다. 저자 알베르 카뮈 출판 민음사 출판일 2011.04.03 '페.. 2024. 4. 5.
#43 주홍글자(주홍글씨) - 너새니얼 호손. 서평(리뷰) 및 해석 주홍글자 미국 낭만주의 문학의 선구자, 너새니얼 호손의 대표작. 소설은 헤스터와 딤스데일, 칠링워스 세 사람을 통해 죄악이 그들의 인생을 어떻게 파멸과 구원의 길로 이끌어 가는지 보여 준다. 이를 통해 인간 영혼의 어두운 본성과 19세기 청교도 사회의 불안전성, 개인과 사회에 내재한 나약함을 날카로운 통찰력으로 형상화하고 있다. 17세기 미국 보스턴. 순수하고 신성한 유토피아를 꿈꾸는 이 청교도 마을에서 '간음하지 말라' 라는 일곱 번째 십계명을 어긴 죄인으로, 헤스터는 '간통(Adultery)'을 상징하는 글자 'A'를 평생 가슴에 달고 살아야 하는 형벌을 받는다. 사람들의 경멸에도 죄악의 징표인 'A'를 주홍빛 천으로 만들어 그 둘레에 금실로 화려하게 수를 놓아 당당하게 달고 다닌다. 그런 헤스터와는.. 2024. 4. 5.
#42. 피그말리온 - 조지 버나드 쇼. 서평(리뷰) 및 후기 피그말리온 셰익스피어 이후 가장 위대한 극작가 조지 버나드 쇼의 대표작『피그말리온』. 예술가가 자신이 만들어 낸 작품과 사랑에 빠진다는 그리스 신화 에서 제목과 모티브를 가져온 작품으로, 꽃 파는 소녀의 신분 상승을 통해 영국 신분 제도의 문제점과 모순을 파헤치고 있다. 쇼의 작품 중 대중의 사랑을 가장 많이 받았으며 무대에서 큰 성공을 거둔 뒤 영화와 뮤지컬로도 만들어졌다(). 신분, 언어, 교육, 빈곤, 여성 등 당대의 사회 문제를 본격적으로 극화한 것이 특징이다. 저자 조지 버나드 쇼 출판 열린책들 출판일 2011.06.30 극은 그리스 로마 신화의 피그말리온 이야기를 모티브로 만들어졌다. 등장인물 히긴스는 그리스 로마 신화의 피그말리온이고, 갈라테이아는 리자(일라이자)로 암시된다. 극은 길거리에서.. 2024. 4. 5.
반응형